분류 전체보기24 SQL 프로그래밍 입문 현재 코드프레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JAVA 웹개발 커리큘럼에 참여중에 있습니다. 그 중 SQL에 대한 학습내용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시퀄) 데이터베이스(DB)와 대화하기 위해 특화된 언어 programming langauge가 아니다! 잘 다루면 매우 유리하다 (많은 곳에 쓰이기 때문...) 데이터베이스 구성요소 (MySQL 기준) Schema(엑셀) → Table(시트) → Record(data, 각 행) MySQL 자료형 String 형태의 CHAR, VARCHAR 숫자 형태의 INTEGER, FLOAT 시간 형태의 DATE, TIMESTAMP SQL 명령어 테이블 생성 age(column name) VARCHAR(자료형) PRIMARY KEY.. 2022. 2. 3. Spring Boot 웹 개발 입문 현재 코드프레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JAVA 웹개발 커리큘럼에 참여중에 있습니다. 그 중 Spring boot에 대한 학습내용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스프링 부트 1. 끊임없는 개선 및 다양한 지원 (클라우드, native 등등...) 2. 높은 러닝 커브 3. 복잡한 설정 (무겁다, 대기업에서나 쓸 법한 기술) Web 및 HTML WWW(web)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중 하나 웹상에서는 Hyper Text로 정보를 공유 Hyper Text를 쓰는 언어는 HTML HTTP는 서버 간 Hyper Text 를 주고받는 표준 규약 스프링부트의 계층형 아키텍처 패턴 아래와 같이 웹브라우저 → Presentation layer → Application layer → Data Access layer → .. 2022. 2. 3. Udacity - Data Lakes w/ Spark - Intro to Spark 빅데이터 (Big Data) ? CPU 메모리보다 200x 빠름 Memory SSD보다 15x 빠름 SSD 네트워크보다 20x 빠름 Network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하드웨어 부품들이 비약적인 성능향상을 가져왔지만 네트워크는 그렇지 못함 메모리 또한 비싸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번에 (10GB 이상의 파일 등등...) SSD에서 가져와서 메모리에 Load 하는 것도 힘듦 그래서 distributed computing이 발전됨 (데이터를 chunk로 나눠서 조금씩 조금씩 처리함) chunk를 여러 node가 같이 처리하면 빨라지겠지만, Network가 bottleneck이 될 수 있음을 조심.. Parallel computing: Multiple CPUs sharing Memory Distributed .. 2022. 1. 26. Clean Code란 무엇인가? 현재 코드프레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JAVA 웹개발 커리큘럼에 참여중에 있습니다. 그 중 Clean Code에 대한 학습내용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Clean Code (클린코드) 에 대한 정의는 각자가 다르다 하지만 모두가 공통으로 말하는 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사람이 읽고 이해하기 쉬움 중복 X 변수명이 명확하다 테스트 코드 존재 Clean Code 왜 중요할까? SW개발은 유지보수가 가장 많은 시간 (전체의 75%)을 차지 즉, 새로운 코드를 쓰는 것보다 이미 존재하는 코드를 수정 및 보수하는 시간이 훨~씬 많이 필요함 Clean Naming (표현력) 49%의 개발자가 변수/함수명 선정이 가장 큰 어렵다고 말함 내용물을 보지 않고 변수/함수명만 보고도 파악이 가능하게끔 하는 것이 클린 네이밍 함수의 역.. 2022. 1. 25. 이전 1 2 3 4 5 6 다음